매일 코딩 테스트 풀기
Node.js와 express로 블로그(게시판) 만들기
- Restful API 설계
- Restful API는 API 설계를 일관적으로 하여 어떤 API의 역할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정한 시스템이라고 이해를 했다.
- 나는 아직 REST API의 규칙들을 완벽히 따르며 설계를 한 것 같지는 않다.
- 무작정 코딩을 시작하며 임의로 주소들을 배정해 나가는 것 보다, 미리 API 설계를 글로 기획하는 것이 일관적인 코드를 만들고, 협업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 같다.
- fake API를 검색해보고 다른 사람들은 API 설계를 어떻게 했는지 참고해 볼 수 있다.
- 각 사람이나 회사마다 API 설계 방식에는 차이가 생기기 때문에, 아주 엄격한 규칙은 아닌 것 같다.
- npm을 활용한 패키지 관리
- npm을 활용하면 기본적으로 프로젝트마다 개별적인 환경을 구성할 수 있었다.
- 각 환경에 필요한 패키지의 목록은 package.json 안에 저장된다.
- 따라서 module 자체를 github나 ec2 서버 또는 다른 사람에게 공유하지 않아도, npm install 명령어를 통해 package.json 에 저장되어 있는 패키지 목록을 쉽게 설치할 수 있다.
- mongoose 활용
- ec2로 배포
- pm2로 서버 유지
- 댓글 기능 추가하기
- 회원 가입 관련 기능 추가
항해톡
CS관련 지식 사람들과 함께 나누기
DB index 관련 공부
Node.js 공부
Node.js로 크롤링 하기
XSS, CSRF, 그리고 필터 라이브러리 관련 공부
'Developmen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IL] socket.io (0) | 2022.01.31 |
---|---|
[JavaScript] reduce method, spread syntax, computed property name, ternary operator (0) | 2022.01.31 |
[TIL] 코딩테스트, 회원가입 기능 프론트엔드까지 완성 (0) | 2022.01.29 |
[bootstrap] float, text, flexbox 정렬하기 (0) | 2022.01.29 |
[ajax] 서버에서 보낸 error message 출력하기 (0) | 2022.01.28 |